반응형
무선랜은 범위를 확장하고 싶을때 두번째 공유기를 이용해서 추가적인 확장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혹은 두 공유기를 서로 무선으로 연결하고 근접한 공유기에 무선장비를 연결해서 사용 할 수가 있다.
아래 그림에 간단하지만 자세하게 설명 되어 있다.
보통은 위의 메인 스테이션(AP)과 노트북이나 iPhone등을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무선 범위를 확장하는 경우 위 그림처럼 WDS를 구성해서 사용 할 수 있다.
리모트 스테이션(AP)은 연결된 장비에 무선 연결 혹은 유션 연결을 제공해 주고는 역활을 하고 릴레이 스테이션(AP)은 리모트 스테이션(AP)과 메인 스테이션(AP)의 거리가 먼경우 중간에서 경유지 역활을 해준다.
위 기능은 구성하기에 따라 넓은 지역을 무선랜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리모트, 릴레이 스테이션(AP)은 각 1개씩만 추가가 가능하고 단일 스테이션(AP)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속도가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WDS기능은 대부분 동일 회사의 제품들 간에만 연결을 허용 한다.
몇차례 시행 착오 끝에 ipTime과 TimeCapsul의 WDS구성을 성공 했기 때문에 기록으로 남겨 놓는 것일 뿐 이 글대로 해서 안된다고 원망하지 말기를 바란다.
Apple 제품은 디자인이 이쁜 대신 모든 기능을 다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저 꼭 필요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하게 해주는게 장점이지만 내게 꼭 필요한 몇몇 기능을 사용할 수가 없다.
국내 최다 판매를 자랑하는 ipTime은 국산 제품 답게 DDNS와 VPN기능등등 없으면 서운할 만한 기능들은 죄다 제공한다. 그래서 메인 스테이션으로는 ipTime의 공유기를 이용하기로 하고 리모트로 TimeCasule을 이용해서 WDS를 구성했다.
대략적으로 연결은 인터넷 모뎀(안방) -- 유선연결 -- ipTime(안방) -- 무선연결 -- TimeCapsule(내방) -- 무선연결 -- MacBook Pro와 iPhone 으로 사용한다.
MacBook Pro를 들고 안방으로 가면 안방의 ipTime 과 연결이 되고 내방으로 오면 TimeCapsule과 연결된다. (실시간으로 로밍이 되는건 아니지만 무선랜을 한번 껏다가 켜거나 이동시 탑케이스를 닫았다 여는 것으로 자동으로 변경 된다)
자 그럼 설정 방법
WDS는 무선랜에 보안을 사용하면 타사 제품 간에는 정상적인 연결이 안된다 (이것 때문에 몇번의 시행 착오를 거쳤음)무선랜 암호가 없기 때문에 SSID숨김 혹은 MAC Address 인증을 이용한 접속등의 별도의 보안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
그럼 즐거운 무선 라이프..
아래 그림에 간단하지만 자세하게 설명 되어 있다.
보통은 위의 메인 스테이션(AP)과 노트북이나 iPhone등을 연결해서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무선 범위를 확장하는 경우 위 그림처럼 WDS를 구성해서 사용 할 수 있다.
리모트 스테이션(AP)은 연결된 장비에 무선 연결 혹은 유션 연결을 제공해 주고는 역활을 하고 릴레이 스테이션(AP)은 리모트 스테이션(AP)과 메인 스테이션(AP)의 거리가 먼경우 중간에서 경유지 역활을 해준다.
위 기능은 구성하기에 따라 넓은 지역을 무선랜으로 커버할 수 있지만 리모트, 릴레이 스테이션(AP)은 각 1개씩만 추가가 가능하고 단일 스테이션(AP)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속도가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WDS기능은 대부분 동일 회사의 제품들 간에만 연결을 허용 한다.
몇차례 시행 착오 끝에 ipTime과 TimeCapsul의 WDS구성을 성공 했기 때문에 기록으로 남겨 놓는 것일 뿐 이 글대로 해서 안된다고 원망하지 말기를 바란다.
Apple 제품은 디자인이 이쁜 대신 모든 기능을 다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저 꼭 필요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하게 해주는게 장점이지만 내게 꼭 필요한 몇몇 기능을 사용할 수가 없다.
국내 최다 판매를 자랑하는 ipTime은 국산 제품 답게 DDNS와 VPN기능등등 없으면 서운할 만한 기능들은 죄다 제공한다. 그래서 메인 스테이션으로는 ipTime의 공유기를 이용하기로 하고 리모트로 TimeCasule을 이용해서 WDS를 구성했다.
대략적으로 연결은 인터넷 모뎀(안방) -- 유선연결 -- ipTime(안방) -- 무선연결 -- TimeCapsule(내방) -- 무선연결 -- MacBook Pro와 iPhone 으로 사용한다.
MacBook Pro를 들고 안방으로 가면 안방의 ipTime 과 연결이 되고 내방으로 오면 TimeCapsule과 연결된다. (실시간으로 로밍이 되는건 아니지만 무선랜을 한번 껏다가 켜거나 이동시 탑케이스를 닫았다 여는 것으로 자동으로 변경 된다)
자 그럼 설정 방법
- 먼저 메인 AP가 될 ipTime의 설정을 위해 리모트 AP가 될 TimeCapsule의 AirPort ID를 확인 한다.
- 위에서 확인한 AirPort ID를 ipTime 설정 화면중 고급설정 > 무선랜관리 > WDS 설정 항목에 넣는다.
- 무선 설정 보안에서 네트워크 이름과 채널을 넣고 인증 방법은 자동, 암호화는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
- 적용을 누르고 설정 끝.
- 다음에는 Time Capsule 쪽의 설정 방법. Airport Utility를 실행한 다음 수동 설정 버튼을 누른다.
- 아래 그림과 같은 창이 열리면 AirPort > 무선을 선택하고 무선모드는 “WDS 네트워크에 접속을 선택”한다. Option(윈도우즈는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면 무선 모드가 나타남.
- 3번 항목에서 선택한 무선랜 이름(SSID)와 채널, 암호화 방법등을 동일하게 선택 한다.
- 무선 옆의 WDS 항목을 선택한 다음 WDS 모드는 “WDS 원격 스테이션” 으로 선택하고 ipTime의 무선랜 포트의 macadress ID를 WDS 주 스테이션 항목에 넣어 준다.
- 설정이 끝났으므로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서 업데이트 한뒤 Time Capsule 혹은 AirPort Extreme 의 전면 불빛이 초록색으로 들어오는지 확인 한다. 만일 주황색이 점멸 한다면 정상적인 연결이 되지 않은 것임.
- ipTime을 재시동 한뒤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WDS는 무선랜에 보안을 사용하면 타사 제품 간에는 정상적인 연결이 안된다 (이것 때문에 몇번의 시행 착오를 거쳤음)무선랜 암호가 없기 때문에 SSID숨김 혹은 MAC Address 인증을 이용한 접속등의 별도의 보안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
그럼 즐거운 무선 라이프..
반응형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X Lion에서 Parallels 구동시 "Unable to Load the Parallels Driver” 에러 해결법 (10) | 2011.06.17 |
---|---|
iTunes 자동 백업 끄기 (0) | 2010.12.01 |
Window XP에서 iTunes 10설치시 iPod Service 32bit Module 에러해결법 (0) | 2010.09.15 |
iTunes Store US 계정 사용하기 (0) | 2010.06.02 |
매직 마우스 "관성 스크롤링(momentum scrolling)"을 레오파드에서 활성화 하기 (0) | 2010.01.25 |